제313조(신용훼손) | |
제314조(업무방해) | |
명예훼손죄 vs 신용훼손죄
경제적인 면에서 타인의 사회적 평가를 침해
신용훼손죄에서의 '신용'이란?
‘신용’
신용훼손죄에서의 ‘허위사실의 유포’란?
‘허위의 사실을 유포한다’
불법행위 피해에 따른 민사적 대응방법은?
제750조(불법행위의 내용) | |
제751조(재산 이외의 손해의 배상) | |
제764조(명예훼손의 경우의 특칙) | |
허위사실 유포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소송 판례
경쟁 업체(산후조리원)에 대한 허위 비방 글을 올려 매출 감소와 상대업체 이미지·평판 등 손상 피해를 입힌 업체(산후조리원)에게
억대의 배상금을 지급하라는 하급심 판결입니다(서울중앙지방법원 2020가합604354 손해배상).
사실관계
재판부의 판단
허위사실 유포가 인정될 경우 형사처벌 및 손해배상책임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허위사실 유포로 인한 명예훼손, 신용훼손, 업무방해죄 등의 혐의를 받고 계시거나, 사건에 연루되신 경우
관련 사건 경험이 많은 변호사의 조력을 받으셔서 사안에 맞는 합리적인 방법을 찾아 원만하게 사건을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현재 카테고리 글
전체글 보기
121 | 형사 일반 | [대구변호사 이지훈] 명예훼손죄의 전파가능성 제한 법리사건 형사 일반2021-02-19 | 2021-02-19 | 4369 | 117 | 형사 일반 | [대구변호사 이지훈] 모욕죄의 가해자로 고소당한 경우? 형사 일반2021-02-10 | 2021-02-10 | 3632 | 113 | 형사 일반 | [성공사례] 금융실명거래및비밀보장에관한법률위반(금융실명법) 방조죄 형사 일반2021-01-28 | 2021-01-28 | 4376 | 105 | 형사 일반 | [대구변호사 이지훈] 폭행죄에 연루되었다면? 형사 일반2020-12-21 | 2020-12-21 | 41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