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당사자는 그 자의 양육에 관한 사항을 협의에 의하여 정한다. <개정 1990.1.13>
② 제1항의 협의는 다음의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개정 2007.12.21>
1. 양육자의 결정
2. 양육비용의 부담
3. 면접교섭권의 행사 여부 및 그 방법
③ 제1항에 따른 협의가 자(자)의 복리에 반하는 경우에는 가정법원은 보정을 명하거나 직권으로 그 자(자)의 의사(의사)ㆍ연령과 부모의 재산상황, 그 밖의 사정을 참작하여 양육에 필요한 사항을 정한다. <개정 2007.12.21>
④ 양육에 관한 사항의 협의가 이루어지지 아니하거나 협의할 수 없는 때에는 가정법원은 직권으로 또는 당사자의 청구에 따라 이에 관하여 결정한다. 이 경우 가정법원은 제3항의 사정을 참작하여야 한다. <신설 2007.12.21>
⑤ 가정법원은 자(자)의 복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부ㆍ모ㆍ자(자) 및 검사의 청구 또는 직권으로 자(자)의 양육에 관한 사항을 변경하거나 다른 적당한 처분을 할 수 있다. <신설 2007.12.21>
⑥ 제3항부터 제5항까지의 규정은 양육에 관한 사항 외에는 부모의 권리의무에 변경을 가져오지 아니한다. <신설 2007.12.21>
제837조(이혼과 자의 양육책임)
친권과 양육권
친권 : 자녀에 대해 갖는 신분 또는 재산상의 권리와 의무
양육권 : 실질적으로 자녀를 양육할 수 있는 권리
친권 행사자의 결정 기준
양육비의 선정기준
양육비 미지급 대처방법
양육비청구소송
670 | 민사 일반 | 낙찰 후 부동산 점유 문제, 인도명령으로 해결하는 방법 알아보기 민사 일반2025-02-12 | 2025-02-12 | 1097 | 664 | 민사 일반 | 부동산 명도소송, 임대차계약 해지사유 알아보기! 민사 일반2025-02-04 | 2025-02-04 | 385 | 650 | 민사 일반 | 내 땅 위 묘지, 법적 해결 방법은? 분묘굴이소송 알아보기 민사 일반2025-01-08 | 2025-01-08 | 576 | 649 | 민사 일반 | 보증금 반환, 지급명령신청 vs 보증금반환청구소송 장단점은? 민사 일반2025-01-07 | 2025-01-07 | 634 | 645 | 민사 일반 | 사업 명의 대여 문제,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 명의대여자책임 알아보기 민사 일반2024-12-24 | 2024-12-24 | 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