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상명령제도란?
배상명령을 신청할 수 있는 경우
- 상해
- 상해로 인한 불구 또는 난치병의 발생
- 폭행 상해 또는 사망
- 과실 또는 업무상 과실로 인한 상해 또는 사망
- 절도, 강도
- 사기, 공갈
- 횡령, 배임
- 재물 손괴
- 강간, 추행
배상명령을 인정하지 않는 경우
1. 피해자의 성명·주소가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
2. 피해 금액이 특정되지 아니한 경우
3. 피고인의 배상책임의 유무 또는 그 범위가
명백하지 아니한 경우
4. 배상명령으로 인하여 공판절차가
현저히 지연될 우려가 있거나
형사소송 절차에서 배상명령을 하는 것이
타당하지 아니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법률사무소 화랑 이지훈 변호사
T : 053-741-5300
010-4627-5331
대구 수성구 동대구로 354, 브라운스톤 702호 법률사무소 화랑
현재 카테고리 글
전체글 보기
676 | 형사 일반 | 개정된 스토킹처벌법, 어떤 행위가 스토킹행위에 해당할까요? 형사 일반2025-02-24 | 2025-02-24 | 232 | 656 | 형사 일반 | 휴대전화 압수와 임의제출, 대법원 판례로 보는 권리 보호와 대응방법 형사 일반2025-01-17 | 2025-01-17 | 341 | 654 | 형사 일반 | 보복 주차로 차를 움직이지 못하게 했다면, 재물손괴죄 처벌 가능성은? 형사 일반2025-01-15 | 2025-01-15 | 682 | 652 | 형사 일반 | 잘못된 형사 판결, 바로잡으려면? 재심 청구 알아보기 형사 일반2025-01-10 | 2025-01-10 | 347 | 646 | 형사 일반 | 전세 계약, 안심하려면 알아야 할 사기 유형과 예방법 형사 일반2024-12-26 | 2024-12-26 | 913 |